콜린성 두드러기에 대해 들어보신적 있으십니까? 특별히 두드러기가 발생할 이유가 없음에도 몸 이곳저곳이 가렵고 동시에 피부가 우둘투둘하게 변하는 현상에 고개를 갸웃하셨던 적도 있으실 겁니다. 저 역시도 최근에 이런 경우가 많아 인터넷을 뒤졌더니 다름아닌 이것이 원인이었습니다. 운동, 더운 환경, 뜨거운 목욕, 스트레스와 긴장 등에 의해 체온이 상승하거나 땀이 날 때 발생하는 일종의 물리적 두드러기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체온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활성 증가가 피부의 반응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1.콜린성 두드러기 현상
피부에 작고 붉은 두드러기와 함께 가려움증이 발생하는데 발생하는 위치는 주로 가슴, 등, 팔, 목, 얼굴에 나타납니다. 심할 경우에는 전신으로 퍼질 수도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체온이 상승했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기에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보통은 몇 시간 이내에 사라집니다.
2.원인
운동을 하거나 뜨거운 물에 노출이 되었을 때, 긴장이나 스트레스, 그리고 매운 음식을 섭취했을 때도 유발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원인이 완전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체온이 상승하면서 아세틸콜린이 피부의 마스트 세포를 자극하여 히스타민과 같은 염증 물질을 분비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관리
가려움과 발진을 완화해 주는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도 방법이며, 예방 차원에서 복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하다면 항콜린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평소 관리가 중요한데 고강도 운동이나 뜨거운 물에 샤워 등 체온을 갑작스럽게 상승시키는 활동을 피하시 게 좋습니다. 뿐만 아니라 매운 음식의 섭취를 줄이고 긴장이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활동을 시도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특히 피부를 시원하게 유지하거나 찬물을 사용하여 진정시켜주는 방법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대부분 시간이 경과하면서 자연스럽게 호전되거나 약화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 만성적으로 지속되기도 하므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알아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감약 부작용 이거 알고 먹자 (0) | 2025.01.25 |
---|---|
쿠팡와우 월회비 이 정도에 이 혜택? (1) | 2025.01.24 |
리플리증후군 상상이 현실? (0) | 2025.01.22 |
멜라토닌 부작용 알고 드셔야 합니다 (0) | 2025.01.21 |
비타민k2 음식 확실하게 정리 (0) | 2025.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