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DC 뜻과 장점 및 단점
CBDC 뜻 혹시 알고 계십니까? 현재 한국은행이 도입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지만 미리에 대비하여 다양한 연구와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입니다. 한국은행은 국제결재은행(BIS)과 협력하여 2024년 10월부터 12월까지 CBDC의 활용성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화폐의 기술적 가능성과 효용성을 검증하겠다는 의미입니다.
1.CBDC 뜻
그렇다면 이러한 CBDC는 대체 어떤 뜻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의 약자로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현금과는 달리 전자적인 형태로 중아은행이 직접 통제가 가능합니다.
2.CBDC 특징
첫 째는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고 관리까지 하는 법정화폐입니다. 둘 째는 디지털 형태로 지폐나 동전과 같이 물리적인 형태를 띄지 않고 디지털 데이터로 존재합니다. 셋 째는 법정통화 지위를 가지고 있어 기존의 현금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집니다. 때문에 지역화페와는 달리 전국에서 모든 물건에 대해 사용이 가능합니다. 넷 째는 분산원장 기술(DLT)을 기반으로 하여 일부 CBDC는 블록체인과 같은 시스템으로 운영되어 안전성과 투명성을 강화됩니다. 쉽게 말해서 지폐를 사용하던 시대에서 가능한 검은 거래가 이루어 질 수 없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다섯 째는 이중 계층 구조 가능성으로 중앙은행과 상업은행이 서로 협력하여 유통 및 거래를 관리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습니다.
3.장점
결제 효율성 향상으로 즉가적이고 저렴한 국내외 송금이 가능하며, 현금을 관리하고 유통하는 비용이 절감됩니다. 금융 포용성 확대로 은행 계좌가 없는 사람들에게도 디지털 결제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습니다. 불법 금융을 차단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자금 추적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탈세나 자금 세탁 그리고 테러에 이용되는 자금의 조달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통화정책 강화를 꾀할 수 있습니다. 금리 정책을 더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경제 위기 시 직접적인 통화 공급이 가능해 집니다. 마지막으로 화폐의 위조가 불가능합니다. 기존의 지폐는 위조가 가능했지만 디지털 화폐는 위조가 불가능하여 기존의 현금에 비해 높은 안전성을 자랑합니다.
4.단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있습니다. 중앙은행이 개인의 모든 거래 내역을 추적할 수 있어 사생활 침해 논란을 야기합니다. 기술적 리스크도 빼 놓을 수 없는데 사이버 공격이나 해킹 그리고 시스템 오류 등의 보안 문제도 단점으로 지목됩니다. 기존 금융 시스템의 혼란도 예측 가능합니다. CBDC의 도입이 기존 상업은행의 역할을 약화시켜 금융 시스템의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도입 비용 문제도 있는데 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수 있으며 현금 의존 문화와 충돌 또한 무시할 수 없는 대목입니다. 일부 국가나 지역에서는 여전히 현금 사용 선호도가 높이 채택이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BDC는 편리성과 투명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연구 및 실험 주에 있습니다. 각국의 경제 및 기술 환경에 따라 도입 여부와 방식이 다를 수 있지만 세계적인 추세라고 한다면 우리나라 역시 마냥 도입을 미루기가 쉽지는 않아 보이며 도입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상 CBDC 뜻과 특징 그리고 장점 및 단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